구글 SEO 최적화
- 곰돌이의 blog 생활/구글 SEO
- 2023. 10. 8.
반응형
반응형
현재 국내 포털사이트는 네이버가 50% 이상 점유하고 있다. 예전에는 이보다 점유율이 훨씬 높았으나 국내에도 구글 사용자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현재는 네이버가 49%, 구글이 29%, 다음이 19%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면된다. 네이버와 구글에서 블로그를 운영할때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. 네이버는 이미지가 중요하고 구글은 전문적인 정보성 글을 우선시 한다. 이러한 포털사이트의 성향을 확인하고 본인의 블로그를 각각의 포털사이트에 맞는 seo작업.. 즉 최적화작업을 해야한다.
(본 포스팅은 본인 티스토리 블로그의 '구글 seo 최적화' 작업을 위해 공부하는 내용으로 포스팅 내용은 각 포털에서 검색해서 정리한 것이다.)
반응형
1. 웹사이트 최적화 - On page SEO
- 웹 페이지의 제목(Title tag)를 키워드를 포함하여 작성하고, 페이지 본문에도 키워드가 사용되어야함
2. 키워드(keyword) 연구
- 키워드를 선정할때에는 사용자가 검색할 가능성이 있는 검색어나 문구를 포함해야함
- keyword planner, keyword master, 블랙키위같은 구글 검색 키워드 연구 도구를 사용하여 사용자들이 자주 찾는 키워드를 분석하고 선정해야함
3. 이미지 최적화
- 이미지의 용량이 클수록 페이지 로딩속도는 느려지기마련, 가급적 1000pixel로 맞추어 통일
4. 고품질 콘텐츠 제작 - High quality content
- 정보가 유용하고 유저가 도와주는 콘텐츠를 작성
- 키워드를 사용하되, 자연스럽게 통합하는것이 중요
5. 웹사이트 속도 최적화 - Page speed optimization
- 웹사이트 로딩 속도가 빠를수록 구글 검색 엔진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음, 이미지 최적화, 브라우저 캐싱, CDN사용등으로 웹사이트 성능을 향상
6. 모바일 호환성 - Mobile friendly
- 모바일 친화적인 디자인을 적용하면 모바일 사용자에게도 편리한 경험을 제공해야함
7. 외부 링크 관리 - Back link building
- 백링크는 구글 검색 엔진에서 신뢰도와 권위성을 높여줌
8. 페이지 소셜 공유 - social sharing
- 소셜 미디에서 콘텐츠를 홍보하고 공유하면 구글 검색 엔진에 대한 영향도 증가함
9.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개선
- google analytics 및 google search console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개선
10. 기술적인 최적화 - technical SEO
- robots.txt 파일과 xml 사이트맵을 생성하여 구글 검색 엔진 크롤러가 사이트를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함
11. 콘텐츠 업에이트와 확장
-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웹사이트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도록 함
12. h태그와 alt 태그
- h태그는 글의 제목이나 부제목을 강조하는데 사용함
- alt태그는 이미지의 설명을 담는곳으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
13. h태그 활용
- 제목과 부제목 설정. 제목은 h1으로 h2, h3는 부제목으로 활용
14.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의 설정
- 티스토리 설정에서 고민중하나는 블로그 주소에서 문자로 선택할지 숫자로 선택할지 결정하는것임. 구글 seo 최적화를 맞추는데에는 숫자보다 문자가 더 효과적(하지만 숫자로 주소를 설정한 포스팅이 많다면 굳이!!! 바꾸지말것. 구글이 헷갈려할 수 있음)
- 구글은 간단한 url주소를 권장하므로 핵심적인 키워드외에는 제목으로 사용하지 말것
15. 구글은 전문적가적인 정보성글을 좋아한다
- 구글은 그림보다 글을 좋아하고 이슈글보다는 정보글이 중요한 포털사이트임. 구글은 AI가 엄청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최적화를 굉장히 중요시함
16. 구글의 페이징 로딩속도
- 그림이 많거나 동영상이 있어서 늦게 페이지가 열리면 최적화가 안된다고 생각할 수 있음
- 구글 상단에 노출된 글 대부분은 그림보다는 말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음
반응형